[스크랩] 한 해를 보내며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. 또 한해가 가 버린다고 한탄하며 우울해 하기 보다는 아직 남아 있는 시간들을 고마워 하는 마음을 지니게 해 주십시오 한 해 동안 받은 우정과 사랑의 선물들 저를 힘들게 했던 슬픔까지도 선한 마음으로 봉헌 하며 솔방울 그려진 감사 카드 한장 사랑하.. 대지와 인문의 느낌 2006.12.18
[스크랩] 가슴속 깊이 묻어두겠습니다 밤사이 내린 눈꽃 만큼이나 당신 생각이 충만한 지금... 당신을 떠올릴 수 있는 벅찬 행복이 오히려 고요입니다. 무엇 때문에 이토록 당신의 사랑을 찾으려 하는지... 헤일 수 없이 많고 많은 이유가 태산보다 많기만 합니다. 이토록 가슴 깊이 감사하는 이유는 당신이 항상 사랑으로 가득 채워주시기 .. 대지와 인문의 느낌 2006.12.13
[스크랩] 심층면접의 깊이 <푸른광장> 심층면접의 깊이 올해 사법시험에서 심층면접이라는 이상한 절차까지 거치면서 최종 합격의 명암이 엇갈린 26명 가운데 특히 2명의 응시자가 내 관심을 끈다. 한 사람은 합격했고, 다른 한 사람은 불합격했다.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전자는 “우리의 주적은 미국이다”는 주장을 번복해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11.30
[스크랩] 이것이 진정한 부산의 포스다. 신선대 콘테이너 터미널... 부산북항에 위치한 컨테이너 전용부두. 총면적 약 104만㎡·안벽 길이 1,200m·컨테이너 크레인 11기 등의 시설을 갖추어 연간 하역 능력이 120만TEU에 달함. 부산에 유명한 곳이라면 해운대에 이어 새로 떠오는 광안대교가 있다. 하지만 항도 부산의 가장 강한 힘을 느낄 수 있.. 대지와 인문의 느낌 2006.11.24
[스크랩] <푸른광장> 논술 교과는 없다. <푸른광장> 논술 교과는 없다 논술 광풍이 불고 있다. 곳곳에 논술 과외학원이 생겨나고 서점, 서가는 논술교재로 채워져 있고, 거의 모든 일간지가 논술 특집을 거의 전면으로 연재되고 있다.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. 이유는 간단하다.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을 대학에서는 테스트하겠다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11.07
성철 스님의 밥상 2006년 11월 3일 (금) 20:49 중앙일보 [정진홍의소프트파워] 성철 스님의 밥상 [중앙일보 정진홍] 13년 전 오늘 새벽 성철 스님이 입적하셨다. 법랍 58세, 세수 82세였다. 그는 밤에도 눕지 않고 참선하던 장좌불와(長座不臥)의 오랜 수련 때문인지 마지막 순간에도 앉아서 숨을 거두는 좌탈(座脫)을 택했다. 그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11.03
[스크랩] <푸른광장>이승엽의 표정 <푸른광장> 이승엽의 표정 내가 배터 박스에 들어선 이승엽 선수의 표정을 제대로 보게 된 것은 어느 식당 대형 디지털TV에서였다. 음식을 주문하고 일행과 대화하던 중 무심히 시선을 던진 TV에 때마침 방망이를 어깨 위로 치켜든 이승엽 선수가 비쳐든 것이다. 그 타석에서 그는 헛스윙도 하고 파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09.21
명안 스님 다비식서 '연꽃 사리' 출현 명안 스님 다비식서 '연꽃 사리' 출현 [SBS TV 2006-09-02 08:01] <앵커> 동양최대 지장보살상으로 잘 알려진 조계종인 음성 미타사의 명안 주지스님이 지난달 27일 입적해 어제(31) 다비식을 가졌는데, 연꽃모양 사리가 발견됐습니다. 불교계에서는 연꽃 사리가 나오기는 처음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09.02
[스크랩] 제목 없는 메일 제목 없는 메일 나는 작품 전시회 같은 데 가면 먼저 작품을 제대로 살피기 전에 제목부터 확인하는 습관을 갖고 있다. 사람들은 더러 작품 제목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데 내 경험법칙을 통해 말하자면 많은 작품들 특히 추상적이고 실험적인 것들일수록 제목이 때로 작품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09.01
<푸른광장>관객과의 불화 <푸른광장> 관객과의 불화 철학자 하이데거는 ‘존재와 시간’에서 ‘시간은 존재의 의미’라고 주장했다. 존재는 시간 안에서 사건화된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. 이를테면 역사가 그런 것이다. 한국 영화사에서 새 밀레니엄의 연대기는 분명 ‘빈집’을 감독한 김기덕에게 할애하게 될 것이다. .. 대지와 인문의 느낌/철학 그 이론들 2006.08.11